기타 일기현상
먼지/모래 회오리(Dust/sand whirls) PO
지면에서 솟아오른 먼지나 기타 가벼운 물질이 건조하고 먼지가 많거나 모래가 많은 지면 위에서 급격하게 회전하는 직경 수 m의 공기기둥입니다. 보통 수직으로 200~300ft 이하로 솟구치지만 매우 뜨거운 사막 지역에서는 2000ft까지 솟구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스콜(Squall) SQ
갑자기 발생한 강한 바람으로, 일반적으로 적어도 1분이상 지속되며 스콜의 더 긴 지속시간으로 인해 돌풍(GUST)과 구별됩니다. 갑자기 발생한 강한 바람의 풍속은 적어도 16kt(8m/s)이상 증가하여 그 속도가 22kt(11m/s)이상 도달하고 적어도 1분 이상 지속됩니다. 스콜은 수평적으로 수㎞, 수직적으로 수천ft 까지 확장되는 규모가 큰 적란운과 격렬한 대류활동과 종종 연관됩니다.
깔때기 구름(토네이도 또는 용오름)〔Funnel cloud(tornado or waterspout)〕 FC
적란운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나 지면까지는 도달하지 않는 기둥 또는 깔때기형태의 구름으로 표시되는 격렬한 소용돌이 현상으로 직경이 수m 에서 수백 m까지 다양합니다.
지상에서 발달한 깔때기 구름을 토네이도라 칭하며 수면 위에서 발달한 것을 용오름이라 한다. 격렬한 토네이도는 풍속이 약 300kt (150m/s)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먼지폭풍(Duststorm) DS
강하고 급격한 바람에 의하여 왕성하게 상승된 먼지 입자의 총체로 보통 뜨겁고 건조하며 바람이 부는 조건, 특히 구름이 없는 왕성한 한랭전선의 전면에서 발생합니다. 먼지 입자의 직경은 전형적으로 0.08㎜미만이며 결과적으로 모래보다 훨씬 더 높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모래폭풍(Sandstorm) SS
강하고 급격한 바람에 의하여 왕성하게 상승된 모래 입자의 총체로 모래 폭풍의 전면 부분은 넓고 높은 벽과 같은 모양을 나타냅니다, 상승하는 모래의 높이는 풍속과 불안정도에 따라 증가합니다.
일기현상의 수식어(상태)
천둥번개(thunderstorm) TS
발달한 적란운에서 구름과 구름사이 또는 구름과 지면 사이의 방전으로 나타나며 소낙성 비를 동반하는 수가 많습니다. 비를 동반하는 경우는 "TSRA", 눈을 동반하는 경우는 "TSSN", 얼음싸라기를 동반하는 경우는 "TSPL", 우박을 동반하는 경우는 "TSGR", 싸락우박과/또는 눈싸라기를 동반하는 경우는 "TSGS"와 같이 보고해야 하며, 이들 현상이 복합되어 나타날 때는"TSRASN"과 같이 보고해야 합니다. 관측시간 전 10분 동안에 공항에서 천둥소리를 듣거나 번개가 탐지되었지만 강수가 관측되지 않았을 때는 수식이 없는 약어 "TS"를 사용해야 합니다.
소낙성(Shower) SH
보통 대류운에서 오는 단시간의 강한 강수를 말하며 갑작스런 시작과 종료 그리고 강수 강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며, 소낙성의 비는 "SHRA", 눈은 "SHSN", 얼음싸라기는 "SHPL", 우박은 "SHGR". 싸락 우박과/또는 눈싸라기는 "SHGS" 또는 이들 현상이 복합되어 나타날 때는 "SHRASN"과 같이 보고해야 합니다. 공항 인접지역에서 관측된 소나기는
강수의 형태나 강도에 대한 수식 없이 "VCSH"와 같이 보고 해야 합니다.
어는(Freezing) FZ
안개(FG), 이슬비(DZ) 그리고 비(RA)에만 사용해야 합니다. 수식어 "FZ"는 물방울 온도가 0℃ 미만(과냉각) 일 때의 안개(FG), 이슬비(DZ) 또는 비(RA)만을 수식하는데 사용합니다. 과냉각된 물방울은 지면이나 항공기에 충돌해서 물과 얼음의 혼합물을 형성하며, 어는 안개는 보통 상고대(Rime), 또는 드물게는 맑은 얼음으로 쌓입니다.
높게 날림(Blowing) BL
지상위로부터 2 m (6 ft)이상의 높이로 바람에 의해서 올라간 먼지(DU), 모래(SA), 눈(SN) 보고에 사용, 눈의 경우에는 구름으로부터 내리는 눈과 지상으로부터 바람에 의해서 올라간 눈과 혼합된 경우에 사용해야 합니다.
낮게 날림(Low drifting) DR
지상 위로부터 2 m (6 ft)미만으로 바람에 의해 올라간 먼지(DU), 모래(SA), 눈(SN)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얇은(Shallow) MI
수식어 "MI"는 수평 시정이 1000 m 이상이지만, 지면으로부터 2 m (관측자의 눈높이)까지 1000 m 미만인 시정 층이 있는 안개(FG)를 나타낼 때만 사용해야 합니다. 운항상"MIFG"는 활주로 표시와 활주로 등이 보이지 않는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합니다.
산재한(Patches) BC
수식어 "BC"는 공항에 안개가 산재하고 있음을 표시할 때만 사용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비록 METAR/SPECI에서 수평 시정을 1000 m 이상으로 보고해도 관측자는 1000 m 미만의 시정 구역을 볼 수 있습니다.
부분적(Partial) PR
공항의 상당한 부분에 안개가 덮여있는 반면 나머지 부분은 안개가 없음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수식어 "PR"은 안개(FG)에만 사용되며 공항 일부 구역에 안개가 끼었으나 나머지 구역은 맑음을 표시합니다.
'Aviation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의 Navigation, FMC NAVDATA 관리 (6) | 2023.02.14 |
---|---|
무인항공_무인동력비행장치 4종(무인멀티콥터) 도전 (0) | 2023.01.25 |
[항공기상] 기상현상 종류와 이해(1) (0) | 2023.01.16 |
[항공기상] 항공기상관측 이란? (0) | 2023.01.15 |
[항공기상] 운항과 관련된 기상업무(일반) (2)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