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항공사에서 새로운 노선을 취항하기에 앞서 필수적으로 수행하는 노선 분석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항공사는 보유하고 있는 기재에 대한 항공기 스펙(Specifications)을 반영한 성능(Performance) 및 비행계획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항공사가 보유한 각종 시스템과 매뉴얼, 분석 Tool을 이용하여 운항거리 및 비행에 필요한 탑재연료, 탑재가능중량 등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수지분석을 통해 최종 운항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노선분석 개요
노선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크게 공항분석과 항로분석을 진행합니다.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각 국가의 비행정보간행물(Aeronotical Information Publication), 젭슨(Jeppesen) 매뉴얼, 성능프로그램 그밖에 항공정보시스템, 항로분석을 위한 Skyvector 등을 활용하여 보유 기재의 성능에 최적화된 항로 및 연료소모량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예상탑재중량(ACL_Allowable Cabon Load)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분석 노선의 공항분석은 해당 공항에 보유 항공기의 운항가능 여부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으며, 연료소모량은 투입비용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연료비용 예측하고 예상 탑재 중량은 수익과 직접 연결되는 승객 및 화물탑재량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결국 노선 분석은 기술적으로 운항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예상 비용과 수익을 분석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공항분석
해당 공항에 보유 기재가 이/착륙하는 데 있어 기술적으로 제한이 없는지 분석하고 이륙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Performance Software Prograrm을 통해 이륙성능을 분석 하며 공항의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항공정보간행물(AIP)을 활용 합니다.
AIP에서 해당 공항정보를 보면 기본적인 공항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데 공항좌표, 운영시간, 조업지원, 공항시설 등 운항에 필요한 확인 가능한 사항들이 확인 가능합니다. 특히 공항 분석 단계에서 중점적으로 확인할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공항 표고(Airport Elevation)
- 활주로 길이 및 너비(Runway Length & Width)
- 활주로 경사도(Runway Slop)
- 공항 장애물(Airport Obstacles)
- 활주로 강도(Runway Pavement)
공항 해발고도, 활주로 길이 및 너비, 경사도, 이륙 경로 상의 장애물들은 항공기의 이륙성능과 유상하중(ACL)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끼치는데 Apron, Taxi way, RWY 노면의 포장 강도는 항공기 종류에 따라 중량이 제한되어 있으며 포장 강도가 강할수록 항공기의 허용이륙중량도 높아져 많은 승객과 화물이 탑재 가능해집니다.
또한 AIP로 확인할 수 있는 장애물 정보는 활주로 말단으로부터의 거리와 장애물의 높이이고, 보잉(젭슨) Operation Data에서 제공하는 장애물 정보는 Takeoff Flight Path(ICAO 기준) 상의 장애물 정보로 재 구현된 정보입니다.
항로분석
항로분석은 젭슨의 PREFFERRED ROUTE, AIP의 AIC 등을 통해 해당 구간의 최적화된 항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운항하고자 하는 구간이 다른 항공사가 운항을 하고 있는 경우라면 국토부 항공정보시스템(UBIKAIS)을 통해 관제기관에 제출된 항로를 참고하여 분석할 수도 있습니다.
분석 단계에서 항로 선정은 보수적인 계산을 위해 표준계기출발절차(SID_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표준계기도착절차(STAR_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는 최장구간으로 계획합니다.
- 출발공항 SID 선정(최장거리)
- 항로선정
- 목적공항 STAR 선정(최장거리)
FLIGHT PLANNING
공항 분석을 통한 공항운영시간, 조업지원(급유, 케이터링, CIQ 등) 가능 여부, ATS, 기상정보 제공 등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이륙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물 정보, 활주로 길이 및 너비, 강도 등의 정보를 확인합니다. 또한 운항하고자 하는 기재의 중량 및 기본 재원 정보를 확인 후 비행계획 시스템에 이 모든 정보를 입력합니다.
항로 역시 항로분석을 통해 확보한 최적의 운항루트를 입력하여 분석을 진행하면 예상 비행 소요시간 및 연료 등이 산출되며 기본적인 비행계획서가 완성됩니다. 이때 비행계획서의 예상탑재중량(ACL)을 통해 얼마나 승객과 화물을 탑재하여 운항할 수 있는지 분석이 가능하며 신규 노선 준비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Aviation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상] 기상현상 종류와 이해(1) (0) | 2023.01.16 |
---|---|
[항공기상] 항공기상관측 이란? (0) | 2023.01.15 |
[항공기상] 운항과 관련된 기상업무(일반) (2) | 2023.01.08 |
[우주방사선] 항공승무원이 알아야 할 이야기2 (0) | 2022.12.04 |
[우주방사선] 항공승무원이 알아야 할 이야기1 (2) | 2022.12.03 |
댓글